이번에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기획상 변경해야하는 부분이 생겨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간단한 플로우를 설명하면 기존변경나이를 입력받음 생년월일을 입력받음ex) 25ex ) 2024-05-01 기존에는 나이를 입력받아 전달하면 되는 플로우지만, 변경해야하는 부분은 생년월일을 입력받아야합니다.간단하죠? 저도 간단할 줄 알았습니다 문제가 됐던 부분들을 먼저 정리해보겠습니다.타입과 DB구조 가장 많은 에러를 마주했던 부분입니다. 기존에 회원가입에 필요한 정보들을 정의해둔 ts 파일이 있었습니다. 해당 파일에는 나이를 string으로 입력받아 DB에 전달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서 전 두가지 분기점을 생각했습니다. 생년월일을 입력받아야하면 필요한 input은 3개입니다. (연도, 월, 일) strin..
전체 글
프론트엔드 개발자 장찬영입니다. 제 기록이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s://open.kakao.com/o/sW0dhISf이번에 GraphQL, Axios를 합쳐서 사용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이런 좋은 기회를 기록하지않고 넘어가기엔 너무 아까운 것 같아 포스팅을 해보려합니다. REST API의 단점을 때려잡은 GraphQL을 알아보고 어떻게 Axios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GraphQL GraphQL을 정리해서 이야기해보면 웹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가져오는 것이 목적인 쿼리 언어입니다. 'REST API랑 뭐가 달라? 정보 가져오는 건 똑같은데?' 라는 질문을 하시는 분들도 있겠죠? GraphQL은 REST API와는 다르게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만 정확하게 요청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REST API는 서버에서 정의한 엔드포인트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
JS의 대표적인 중앙상태관리자인 리덕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앙상태관리자란, 상태 값들을 컴포넌트 단위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상태 값들을 따로 관리하여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왜 중앙상태관리자가 필요할까요?? 아래 다이어그램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몇 안되는 컴포넌트의 deps에서는 state Drilling을 통해 관리할 수 있겠지만, 만약 아래같은 상황이라면 어떨까요?? . . . . . . . . . state Drilling이 도저히 감당할 수 없고, 거쳐가는 모든 컴포넌트들이 state를 들고 다녀야하는 말도안되는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저희가 오늘 알아볼 중앙상태 관리자가 도입된다면 어떻게 변화될까요? 상태관리를 담당해주는 중앙상태관리자로 인해 컴포넌트간..
모든 렌더링에는 고유한 state가 있다 랜더링 시 그 안에 있는 State의 데이터가 시간이 지난다고 바뀌는 것이 아니다.컴포넌트가 재 호출되고, 각각의 랜더링마다 격리된 고유의 count 값을 "보는" 것 입니다. state를 변경하면, 해당 state의 값이 올라가며, 이 state를 참조하고 있는 함수는 랜더링 당시의 state를 보고 있게 된다.각각의 랜더링은 고유한 버전의 함수를 리턴하게 되고, 각각의 버전은 고유의 state를 기억하게 됩니다. 1. state변경이 일어나면, 컴포넌트는 리액트에게 상태 변경을 요청한다. 2. 리액트는 컴포넌트에 변경사항이 적용된 랜더링 결과물을 만들고 브라우저에게 dom에 추가한다. 3. 이후 useEffect 의 콜백함수 내용을 실행한다. (랜더링 당시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을 표현하려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실세계의 실체인 사물과 개념을 인식하는 철학적 사고를 프로그래밍에 접목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존재하는 사물' 에는 그것의 '본질'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플라톤의 논리를 프로그래밍에 접목시킨 것입니다. 간단한 코드와 함께 어떻게 철학적인 사고가 프로그래밍에 합쳐졌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class chair { // 추상적인 존재 ... } ... new chair(); // 실체화 chair의 추상적인 본질을 class로 정의(생성)하고 new 키워드를 통해 실체화 시킨 것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추상적으로 존재하던 class가 new 키워드를 사용한 순간, 실제 메모..
실행 컨텍스트를 공부하면서 함수에 대한 공부도 필요하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함수 코드의 평가와 실행 함수 실행 컨텍스트와 그 안에서 생성되는 렉시컬환경과 환경레코드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기에 가장 기본이 되는 함수를 다시한번 공부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함수의 정의 함수는 마치 재료를 투입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기계와 같습니다. 입력과 출력으로 새로운 값을 함수 외부로 반환해줍니다. 함수는 일련의 과정을 문(Statement)으로 작성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입니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정말 간단합니다. 코드의 재사용성! 바퀴를 다시 발명하지 마라는 유명한 프로그래밍 격언이 있습니다. 이미 만들어져있는 것을 다시 만들지 말라는 이야기입니다. ..
렉시컬 환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렉시컬 환경 개념 렉시컬 환경이란, 실행 컨텍스트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입니다. 렉시컬 환경은 식별자와 식별자에 바인딩된 값. 상위 스코프에 대한 참조를 기록하고 저장해두는 저장소의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추가로 설명하면, 코드 block, function, script를 실행하기 전에! 생성되는 객체입니다. 실행할 스코프 범위 안에 있는 변수와 함수를 프로퍼티로 저장하는 객체입니다. 앞전에 살펴봤던 실행 컨텍스트 스택은 코드의 실행순서를 관리했다면, 렉시컬 환경은 스코프를 구별하여 식별자를 등록, 관리하는 친구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렉시컬 환경 구성요소 첫 번째, 환경레코드 입니다. 환경 레코드는 스코프에 포함된 식별자를 등록하고 등록한 식별..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를 공부하며 블로그에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JS엔진에서 실행컨텍스트는 동작 원리를 담고 있는 핵심개념이며, 코드들이 실행되기 위한 환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행컨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다면 스코프 기반의 식별자 바인딩 개념, 호이스팅의 발생원인, 클로저의 동작방식, 태스크 큐와 동작하는 이벤트 핸들러, 비동기 처리의 동작 방식등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하는 4가지 타입의 소스코드로 전역 코드, 함수 코드, eval 코드, 모듈 코드로 구분됩니다. 전역 코드는 전역변수를 관리하기 위한 전역 스코프를 생성합니다. var키워드로 선언된 전역 변수와 함수 선언문을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바인딩하고 참조하기 위해 전역객체와 연결합니다. 이..